15
2013-Oct
측정편 팬택 (PANTECH) VEGA 시크릿노트작성자: Golden Ears IP ADRESS: *.56.123.23 조회 수: 39633
24bit/192kHz 파일의 재생을 지원하는 기기답게 20kHz이상 고음의 재생과 소리의 크기차이와 관련된 수치인 Signal to Noise Ratio 모두 16bit/44.1kHz 포맷의 한계를 넘어서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리의 왜곡을 의미하는 수치인 THD+N 특성도 전체적으로 우수한 편이고, 좌우 소리의 섞임을 의미하는 수치인 Stereo Crosstalk는 부하의 임피던스 크기가 작아져도 특성의 변화가 일정한 수준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점이 매우 좋습니다.
국내의 유통사가 공식적으로 유통하는 제품 중 궁금하신 제품이 있으시면, 골든이어스 리뷰어 아이디에 쪽지를 보내셔서 리뷰 가능 여부를 문의 하시고, 제품을 골든이어스 사무실로 보내시면 됩니다.
* 골든이어스 테스트 방법 (DAC, Amplifier)
* 골든이어스 측정 데이터 읽는 방법 (Phones, DAP, Amplifiers)
주의.
아래의 측정 데이터는 골든이어스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제품 1개의 테스트 결과이고 동일한 모델 전체의 특성을 대변하지는 않습니다.
테스트 결과
1.1. 하드웨어 기본 성능 테스트 (무 부하 테스트, FLAC 파일 성능, 24bit/192kHz Mode)
1.1.1. 주파수 응답특성 (Frequency Response)
주파수 응답특성
주파수 응답특성은 재생 대역폭이 넓고 FLAT할수록 좋은데, 테스트 시료의 경우 sampling frequency 192kHz를 지원하는 제품답게 고음의 재생 대역폭이 약 90kHz까지 재생이 잘 됩니다.
1.1.2. 신호 대 잡음비율 (Signal to Noise Ratio)
신호 대 잡음비율
신호 대 잡음비율은 신호의 크기와 노이즈의 비율을 의미하는 수치로 숫자가 작을수록 노이즈가 작게 들리는 제품인데, 테스트 시료의 경우 상당히 좋은 수준입니다.
1.1.3. THD+N 비율
THD+N 특성은 기기에서 발생하는 배음성분(Harmonics)의 양을 수치화 한 값으로 작을수록 좋은 제품인데, 테스트 시료의 경우 상당히 좋은 수준입니다.
1.1.4. 노이즈 비율 (Noise Ratio)
소음 비율
소음 비율은 소리가 재생되지 않을 때 노이즈가 재생되는 크기를 수치화 한 값으로 작을수록 좋은 제품인데, 테스트 시료의 경우 상당히 좋은 수준입니다.
1.1.5. 채널 간섭 (Stereo Crosstalk)
스테레오 크로스톡
스테레오 크로스톡은 좌우 채널의 소리가 얼마나 다른 채널의 소리에 섞여서 재생이 되는지의 정도를 수치화 한 값으로 값이 작을수록 (-값으로 내려갈수록) 좋은 제품인데, 테스트 시료의 경우 상당히 좋은 수준입니다.
1.2. 부하 테스트 (Load Test)
부하 테스트는 휴대폰에 이어폰 혹은 헤드폰을 연결한 상황을 유사하게 만들어 해당 상황에서의 휴대폰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화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을 할 때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성능을 보여주는 테스트 방법입니다.
1.2.1. 주파수 응답특성 (Frequency Response)
주파수 응답특성 (16Ω)
주파수 응답특성의 경우 16Ω 부하가 연결되었을 때 고역의 감쇄가 조금 빨리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고역의 필터 특성(Low pass filter)에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1.2.2. 신호 대 잡음비율 (Signal to Noise Ratio)
신호 대 잡음비율은 임피던스값이 작아져도 (부하가 크게 걸려도) 큰 변화가 없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2.3. THD+N 비율
16Ω 부하
노이즈의 비율은 부하의 임피던스 크기가 작아져도 크게 변화량이 없는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1.2.5. 채널 간섭 (Stereo Crosstalk)
16Ω 부하
채널간섭은 테스트 시료의 가장 큰 장점으로 부하의 임피던스 크기가 작아져도 성능저하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1.3. 출력 임피던스
출력 임피던스는 휴대폰 단자의 저항성분을 의미하는 값으로 값이 낮을수록 이어폰(헤드폰)의 구동을 잘 하는 제품입니다. (출력 임피던스값이 작을수록 DAMPING FACTOR가 좋아집니다.)
VEGA 시크릿노트의 경우 출력임피던스가 2.10Ω 정도로 측정되었습니다.
실질적으로 들어보기만 하면 되겠군요...핸드폰치곤 준수해보입니다 ㅎㅎ
오오오 벡아연때문에 기대도 안했는데 명기까진아니더라도 상당한게 나왔네요
오오...
그래도 팬택 AS에 제대로 데인 적이 있어서 팬택은 절대네버 안씁니다
라고 쓰고 지금 폰이 알고보니 팬택 orz
G2 보다 좋아 보이는군요^^
쥐프로 사용자로서 이런것들을 볼때마다 폰기변하고 싶지만 아직 1년도 안된지라 손가락만 빨고 있네요. ㅠ 아무래도 아이폰이라도 중고로 들여서 음감해야 하나 싶기도 하고...참 난감합니다. 그거와는 별개로 베가도 점점 음감용으로도 좋아지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