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2009-Oct
음질편 웨스톤(Westone) UM3X, 이어폰 리뷰 – 음질편작성자: Golden Ears 조회 수: 38774
오늘은 웨스톤의 이어폰 UM3X의 소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원래 웨스톤의 UM3X라는 제품은 개인적으로 그다지 관심이 없었는데 지난번에 W3의 리뷰가 게시된 이후 많은 분들께서 궁금해 하시는 것 같고 그래서인지 저 역시 UM3X라는 제품의 소리가 어떠한지 상당히 궁금했습니다. 과연 W3와는 다른 성향의 소리가 들릴지 아니면 동일한 회사의 제품이라서 비슷한 성향의 소리가 들릴지 참으로 궁금했습니다.
골든이어스에서는 아래의 장비를 사용하여 소리에 대한 기준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면서 제품의 청음 및 테스트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품의 소리에 대하여 이야기를 할 때에 현재 본인이 사용중인 제품의 소리를 기준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개인 리뷰의 경우 현재 사용을 하는 제품이 개인마다 대부분 다르기 때문에 개인들의 리뷰를 읽어도 독자들은 해당 제품의 소리를 정확하게 알기가 어렵습니다.
골든이어스 리뷰는 실제 제품의 소리를 들을 때에 Golden Ears Reference 장비의 소리를 기준으로 평가제품의 소리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지를 평가항목별로 작성합니다. 때문에 대부분의 골든이어스 음질편 리뷰들은 결과가 그리 좋지 않게 표현이 됩니다만 이렇게 레퍼런스의 소리를 기준으로 정하여 비교를 하면서 청음을 해야만 항상 일정한 기준으로 제품 소리에 대한 리뷰가 가능해집니다.
이와 더불어 조금 더 객관적인 데이터를 보여드리기 위하여 골든이어스 리뷰는 더미헤드를 사용하여 제품들의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보여드립니다. 자세한 측정방법은 http://goldenears.net/board/24631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Westone UM3X, Comply Form팁 사용 (4회 측정)
Westone UM3X의 주파수 응답특성
Diffused Field Equalizer 적용, Etymotic사의 이어팁 사용
Etymotic-Form: 검정색 연탄 모양의 팁
Etymotic-3Flange: 회색의 3중날개 모양의 팁
Westone UM3X의 주파수 응답특성
Diffused Field Equalizer 적용, 사용된 이어팁간의 비교
웨스톤 UM3X의 주파수 응답특성은 위의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저음이 많고 3kHz부근이 작게 재생이 됩니다. 때문에 소리의 성향은 좋게 표현을 하면 저음이 풍성하고 아주 부드러운 소리가 들리고 나쁘게 표현을 하면 어둡고 가려진 느낌의 소리가 재생됩니다.
소리의 균형은 EQ를 사용하여 조절을 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조정이 가능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UM3X의 소리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W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음의 재생 대역폭입니다.
UM3X 역시 W3와 마찬가지로 3-Way로 만들어진 제품이므로 주파수 대역폭이 다른 제품보다 넓어야 하는데 고음의 재생 대역폭이 다른 경쟁 제품들보다 오히려 더 좁습니다. 혹시나 하고 EQ를 사용하여 고음의 소리를 크게 조정을 해 보았는데, 고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습니다.
참고 1.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을 비롯한 음향기기의 재생 주파수 대역폭은 넓을수록 좋은 제품이지 소리의 튜닝을 위하여 제조사에서 고의적으로 주파수 응답특성을 좁게 제품을 만들지는 않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측정수치와 소리와의 관계 – 주파수 응답특성 게시물에서도 설명을 드렸지만 바이올린 소리의 경우를 예로 들면, 대략 1.5kHz까지는 바이올린의 기본음(Fundamental)만으로도 소리의 재생이 잘 되고 배음(Harmonic)성분까지 고려를 하면 18kHz까지 재생되어야 왜곡이 없는 바이올린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 때문에 제조사측에서 고의적으로 소리의 재생 대역폭을 좁혀 놓았다는 주장은 제조사측의 핑계거리로 생각이 됩니다.
참고 2.
제조사측에서 발표를 하는 주파수 응답특성은 제조사마다 표기하는 기준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UM3X의 경우 위의 그래프를 보면 1kHz에서 들리는 소리의 크기보다 20kHz에서 들리는 소리의 크기는 대략 30dB 가량 작습니다. 때문에 주파수 응답특성의 상하 범위에 대한 언급 없이 UM3X의 주파수 응답특성은 20Hz ~ 20kHz 라고 표기를 하여도 틀린 내용은 아닙니다. 다만 20kHz에서는 1kHz의 소리에 비하여 약 30dB이나 작게 소리가 들리게 된다는 내용이 없을 뿐입니다.
게다가 측정 시에 실제 사람이 느끼는 소리의 크기로 변화를 하는 이퀄라이져까지 고려를 하면 제조사측에서 말하는 주파수 응답특성은 더더욱 알 수 없어집니다.
UM3X의 소리는 저음이 많기 때문에 저음에서 소리가 재생되는 베이스나 드럼의 소리가 실제의 소리보다 매우 굵고 힘 있게 들립니다. 좋게 표현을 하면 부드럽고 풍성한 저음이고 나쁘게 표현을 하면 저음이 너무 과장되어 다른 영역의 소리를 가려버리는 답답한 소리가 들립니다.
저음이 많고 고음의 재생 대역폭이 좁기 때문에 안개에 가려진 느낌이 상당히 많이 느껴집니다. 하이헷의 소리는 들리기는 하지만 크기가 작고 투명한 느낌의 소리가 아니라 탁해진 느낌으로 들립니다. 전체적으로 해상력과 투명성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소리입니다.
저음의 양감은 풍성하고 저음의 디스토션 느낌은 그다지 느껴지지 않습니다. 다만 고음의 재생 대역폭이 좁아서 저음의 반응속도가 느립니다. 반응속도가 느린 제품의 소리는 좋게 표현을 하면 저음의 양감이 풍부하고 매우 부드러운 소리가 들리는 것이고 나쁘게 표현을 하면 순간적인 소리의 변화를 이어폰에서 재생을 하지 못하는 답답한 소리가 들립니다.
이 제품에서의 공간감은 일반적인 인이어 형태의 이어폰과 별 차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다만 고음의 재생능력이 부족하여 사운드 스테이지의 크기가 중앙으로 좁혀지는 경향이 있고 악기의 음상이 또력하게 형성이 되지 않고 흐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크고 작은 소리의 표현은 가능하지만 순간적인 소리의 변화가 더딘 편이고 세밀한 부분의 표현력이 떨어집니다.
주의사항
아래의 평가표는 제품 소리의 성향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지 제품의 등급을 나타내는 점수(Rating)가 아닙니다.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No |
Item |
+ 5 |
Score |
- 5 |
1 |
명료도/채색 정도/속도 |
세밀한 |
-3 |
가려진 |
2 |
순간적인 음량 변화 |
현장감 있는 |
-2 |
압축된 |
3 |
공간감/개방감 |
개방적인 |
-1 |
밀폐된 |
4 |
사운드 이미지의 크기 |
또렷한 |
-2 |
확산된 |
5 |
형성되는 가상무대의 크기 |
넓은 |
-2 |
좁은 |
6 |
형성되는 가상무대의 깊이 |
깊은 |
-1 |
얕은 |
7 |
중역 대비 고음의 느낌 |
밝은 |
-3 |
둔한 / 무딘 |
8 |
고음의 질감 |
부드러운 |
0 |
거친 |
9 |
중역 대비 저음의 느낌 |
부풀어진 |
+2 |
얆은 |
10 |
저음의 질 |
단단한 / 또렷한 |
-2 |
느슨한 / 힘이 없는 |

EQ를 사용한 소리의 튜닝방법을 모르시는 분들께서는 아래의 게시물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2만5천원으로 하이파이 사운드를 들어보자.
웨스톤 UM3X의 소리는 EQ를 사용하여 튜닝을 시도하였으나 EQ를 사용하여 고음을 증폭하여도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때문에 EQ를 사용한 소리의 튜닝은 생략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뭐 그 후로는 배음영역이고 그것은 16KHz까지로 나와있을 뿐이지요. 몇차배음이 16KHz까지 나오는지는 소개가 안되고 있는데, 10KHz넘어가는건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을듯 싶습니다. 주음이 1.3KHz까지기도 하고 주음보다 음량레벨이 절반이하로 작아지는게 배음인지라.
그렇다보니 w3가 후진건 잘 알겠는데 20KHz까지 재생되어야 왜곡이 없는 바이올린의 소리라는건 별로 어울리지 않는 설명으로 보이는군요.
ps. 물론 악기의 배음은 음색을 결정하는데는 엔벨로프와 함께 매우 지대한 역활을 하긴 하지요.
바이올린의 배음영역에 대해서는 전에 잠깐 본 게 있는지라, 나중에 한번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지요.
그건 그렇고 측정 수고하셧습니다.
참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삼성 q1의 경우 다이나믹 레인지가 103dB, q2의 경우 105dB, r1의 경우 94dB가 나오는데 이거 전작들에 비해서 무려 -10dB나 떨어진거 아닌가요? 이러면 후져졌다는 소리가 나와야 당연한듯 한데 이게 왜 신뢰도 상승으로 이어지는건지요?
그로인한 거품이 많이 낀 가격을 지적하고 싶던걸 해당 유저 분들께서 불쾌해 하실까봐 좀 돌고 돌아서 쓴글이었습니다.^^;
저역시 er4 세기종 모두 소유하고있을정도로 광신도급입니다.ㅎ~ 하지만 웨스턴 제품도 보유하고 있을정도로 웨스턴에 대한
믿음이 좀 많이 깍였다고 할까요?? 좀 많이 실망했고 웨스턴 하면 그져 저역 증폭된 양산형 스테이징 모니터링 이어폰 정도의
성능의 이어폰 말고는 음색으로 뇌리에 박힐듯 합디다.ㅠ,.ㅠ;
그냥 westone3나 um3x같은경우 그져 오랜 회로설계와 디자인으로 인한 개발비 충당을 위해 좀 '덜된' 성능의 이어폰을 내준
겪박에 되지 않은것 같습니다.
엄투는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뭐 별반 다를거같지는 않지만...
한때 착용감에 매우만족하며 사용했었던..